반응형

사진/사진이론 2

빛의 세기와 거리

스튜디오나 실외에서 모델 촬영을 하는것을 보면 지속광의 조명을 사용하는것을 보게 되는데, 이때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은 그 기능을 이용해서 빛을 조절하고, 그런 기능이 없는것은 앞뒤로 이동시키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왜 이러한 행동을 하는걸까요? 당연한 이야기지만 빛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서입니다. 빛은 피사체에 가까워질수록 빛의 세기는 강해집니다. 조명과 피사체의 거리를 2배로 벌리면 밝기가 1/4로 줄어들고, 반대로 2배로 좁히면 4배로 밝아집니다. 이유는 아래와 같이 면적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3배로 벌리면 어떻게 될까요? 9배로 밝아지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배로 벌리면 1/4배가 되고, 3배로 벌리면 1/9배가 되니 제곱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것을 유추 할 수 있겠네요. 이것을 이..

사진/사진이론 2022.11.04

빛의 스팩트럼

빛은 우리가 피사체를 볼 수 있게 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빛이 한점 없는 어둠에서는 물체가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는것을 누구나 다 알고 있을것입니다. 현재 보고 있는 이 글도 빛이 있기에 보고 읽을 수 있는것입니다. 그리고 이 카테고리에 다루는 사진은 그 빛을 담는 예술이죠. 아래는 빛의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사진입니다. 위 이미지 순서대로 나열하면 라디오파, 마이크로파, 적외선(IR), 가시광선, 자외선, X레이선, 감마선으로 되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1. 라디오파 : 라디오파는 주파수가 낮은 특성은 가져서 아주 먼거리까지 도달 할 수 있기에 라디오와 같은 무선 통신에 활용됩니다. 2. 마이크로파 : 마이크로파는 라디오파보다 파장이 짧지만 그래서 라디오파보다 많은 데이터를 전달 할 수 있습니다..

사진/사진이론 2022.11.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