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mbedded/Raspberry pi 6

6장. root 계정 활성화하기.

*이 글은 저 자신의 참고용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엔 간단한것입니다. 굳이 써야하나 싶기도 할 정도로요... 그래도 일단 써봅니다. 그동안 명령어를 입력할때 sudo 를 앞에 입력하고 명령어를 쓴것.. 기억하시나요? sudo를 하지 않고 명령어를 입력하였을경우 접근할수 있는 권한이 없기때문에 그동안 명령어 앞에 sudo라는것을 붙여 사용했던것입니다. 이러한 명령어를 붙이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다시말하면 모든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있으니 그것은 바로 root 사용자입니다. 자 이제 이 root 사용자를 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해서 금방끝납니다. 쉬어가는 시간이라고 생각 할 수도 있겠네요. root 계정(슈퍼유저)을 활성화 하여 접속하기. 라즈베리파이에서 다..

5장. XRDP와 SAMBA

*이 글은 저 자신의 참고용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SSH에서 GUI를 지원하지 않는것에 대해 아쉬움을 느끼는분들을 위해 리눅스용 RDP인 XRDP를 이용하려합니다. 또한 SAMBA라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파일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SAMBA는 아마 임베디드 시스템을 학습하신분들이라면 아주 익숙한 프로토콜이라 생각됩니다. 먼저 RDP의 정의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Remote Desktop Protocol, 줄여서 RDP)은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사유 프로토콜로, 다른 컴퓨터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ITU-T T.128 애플리케이션 공유 프로토콜의 확장이다.[1] 클라이언트는 윈도 모바일을 비롯한 대부분..

4장. SSH 방식으로 원격제어하기.

*이 글은 저 자신의 참고용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간단하게 라즈베리파이에 HDMI 케이블과 키보드,마우스등 주변장치를 연결하지 않아도 라즈베리파이를 제어할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원격제어를 해야하는데 'PuTTY'를 이용하여 SSH(Secure Shell)방식으로 접근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시큐어 셀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시큐어 셸(Secure Shell, SSH)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을 가리킨다. 기존의 rsh, rlogin, 텔넷 등을 대체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강력한 인증 방법 및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

3장. Raspbreey pi 인터넷 연결하기.

*이 글은 저 자신의 참고용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인터넷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합니다. 무선랜카드를 연결하는 방법과 랜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법. 이 2가지를 나누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 안되면 답답하니 인터넷 설정하러 가봅시다!! 랜케이블을 이용한 인터넷 연결 설정 방법 먼저 랜케이블을 이용한 인터넷 연결 설정 방법에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건 솔직히 설명할 내용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냥 공유기와 라즈베리파이2를 랜케이블로 연결하면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 따라서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절차만 밟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라즈베리파이2를 부팅하여 로그인을 합니다. 로그인이 완료되었다면 위와 같은 창이 뜨게됩니다. 이 창에서 ifconfig 를 입..

2장. Raspberry pi 시작하기!

*이 글은 저 자신의 참고용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모든 준비를 마치고 오신 여러분.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라즈베리파이를 부팅하여 세팅하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자 출발해볼까요? 시작하기에 앞서 장치를 연결하자! 라즈베리파이에 전원을 연결하기전에 먼저 해야할 일이 있습니다. 기본적인 장치들을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해야겠지요? 1. 모니터와 라즈베리파이를 HDMI케이블로 연결. 2. 키보드와 마우스를 라즈베리파이의 USB포트에 연결. 3. 라즈베리파이와 인터넷 공유기를 랜케이블로 연결.(또는 무선랜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장착) 4. Micro 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2에 장착. (라즈베리파이2 하단에 Micro SD카드 소켓이 있습니다.) 위와 같이 기본적인 장치들을 연결하였다면 Micro USB 전원 케..

1장. Raspberry pi 시작하기전 준비.

*이 글은 저 자신의 참고용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반갑습니다. 먼저 라즈베리파이2를 시작하기전에 필요한 제품(장치)들을 준비합니다. 1. 모니터(HDMI 지원, 미지원시 DVI 지원 모니터를 사용해도 되나 별도로 HDMI-DVI 변환 컨버터가 있어야합니다.) 2. HDMI 케이블(모니터가 HDMI를 지원하지 않고 DVI를 지원한다면 HDMI-DVI 변환 컨버터가 있어야 합니다.) 3. 키보드 4. 마우스 5. 랜케이블(또는 무선랜카드 USB) 6. 전원 어댑터 및 Micro USB to USB케이블 7. Micro SD카드 8. Micro SD카드 리더기 위 장치들이 준비가 되었다면 라즈베리파이 OS와 OS파일을 SD카드에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Win32DiskImager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Win32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