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 3

Makefile 내부 매크로

CC = gcc TARGET = test OBJS = test1.o test2.o $(TARGET) : $(OBJS) $(CC) $^ -o $@​ CC, TARTGET, OBJS 는 사용자가 정한 매크로 대상 이름입니다. ​ 위 소스에서 $^는 의존파일인 $(OBJS)로 치환되며, $@는 타깃파일명인 $(TARGET)으로 치환됩니다. ​ 아래는 Makefile에서 자주 이용되는 내부 매크로입니다. ​ $@ 매크로로 만들어질 타깃 파일명. $^ 모든 의존 파일을 스페이스로 구분한 목록(중복 제외) $+ 모든 의존 파일을 스페이스로 구분한 목록(중복 포함) $? 타깃보다 새로운 의존 파일만 스페이스로 구분한 목록 $< 의존파일 중 첫번째 기술된 파일명(확장자 규칙에만 사용) $* 현재 타깃 파일명에서 확장자..

Linux 2022.12.05

[MAC]VMware Fusion에서 ubuntu 한글언어 설정하는법.

우분투를 설치시 언어팩 설치하는것이 안나오고 그냥 영어판으로 쭉 설치되는경우가 있다. >>한글언어를 세팅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로그인 후 좌측 [system settings] - [Language support] 선택. 2. 창이뜨면 install/Remove Languages .. 클릭 3. Korean을 체크하고 apply changes 클릭 4. 위 과정에서 나는 인터넷 검색에 나온 가이드와 다르게 [한국어]가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계속 검색한 결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하였다. 5. [terminal] 을 실행한다. 6. sudo apt-get install language-pack-ko 을 입력하여 한국어 팩을 설치한다. 7. sudo locale-gen ko_KR.UTF-8 을..

Linux 2014.11.24

Hex file 합치는방법

cat 대상1.hex 대상2.hex >> 새로운.hex 그 후 새로운.hex를 vi editor로 들어가서 중간의 0000을 제거하면 됩니다. hex파일을 보면 주소를 볼수 있는데 이 어플리케이션 hex파일은 메모리 주소를 0xc000부터 시작하도록 설정한것입니다. 0x0000은 부트로더가 있는곳이고요. 펌웨어의 경우 부트로더와 어플리케이션의 hex파일이 개별로있어서 writing을 2번해야하는 상황에서, 이렇게 합칠경우 writing을 1번만 해도됩니다.

Linux 2014.11.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