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촬영관련

[DSLR/미러리스] 한개의 필터를 여러 렌즈에 사용 할 수있도록 하는 도구. 스텝업링/스텝다운링(step up ring, step down ring)

별빛의온기 2022. 11. 14. 01:18
반응형
스텝업 링/스텝다운 링(step up ring, step down ring) 이란?

 

 

DSLR이나 미러리스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대부분은 여러 개의 렌즈를 소유하여 사용하고 있을 것입니다. 

광각 줌, 표준 줌, 망원 줌으로 이뤄진 줌렌즈를 보유하고 있거나, 일부 화각의 밝은 단렌즈를 보유하고 사용하고 있겠죠. 

렌즈가 다양한 만큼 렌즈들의 구경은 25mm의 작은 구경도 있고, 67mm, 77mm, 82mm, 95mm, 112mm 등 렌즈마다 다르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좌) Nikon z24-120 F4, (우) Nikon z14-30 F4 의 필터 사이즈

 

 

위 예에서 z24-120의 필터 사이즈(렌즈 구경)는 77mm고, z14-30은 82mm로 서로 다릅니다. 

그렇다면 이 구경에 맞게 필터를 각각 1개씩 구매해야겠네요.

ND8 필터를 두 렌즈에 사용하고 싶다고 한다면, 77mm와 82mm의 필터를 구매해야 할 것입니다.

이렇게 2개의 필터를 구매하였습니다. 

 

이후 다른 렌즈를 또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z50mm f1.8을 구매한 것으로 가정하겠습니다.

 

 

구매한 z50mm f1.8은 렌즈 구경이 62mm이고 여기에도 ND8을 사용하고 싶다고 한다면 또 ND8 62mm 필터를 구매해야겠네요. 62mm 필터 1개를 구매하여 총 3개의 필터를 구매했습니다.

약간은 부담스럽지만 그래도 1개씩 구매한 거라 부담이 덜한 기분입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 ND64를 위 3개의 렌즈에 사용하고 싶은 생각이 들게 되었습니다. 

와아..! 한 번에 62mm, 77mm, 82mm ND64 필터 3개를 구매해야 합니다. 렌즈가 추가될수록 새로운 필터를 모두의 렌즈에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면 대체 몇 개의 필터를 구매해야 하는 건지 난감합니다.

 

이렇게 렌즈가 늘어날수록 같은 기능의 필터를 여러 개를 사야 하는 일이 생기게 됩니다. 단지 구경이 다르다는 이유 하나 때문이죠.

 

이러한 중복투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나온 것이 바로 스텝업 링과 스텝다운 링입니다.

 

 

 

 

 

 

스텝업 링(step up ring)

 

 

스텝업 링은 사용하고 있는 렌즈보다 더 큰 필터를 보유하고 있을 때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링입니다.

 

 

위와 같이 52mm 구경의 렌즈일 때 72mm 필터를 사용하려고 한다면 52->72mm 스텝업 링을 사용하면 되는 거죠.

또는 52->57mm 연결 후 57->62mm, 62->67mm, 67->72mm 총 4개를 연결해도 됩니다.

 

스텝업 링은 사용하면 가장 큰 크기인 82mm 필터 1개만 구입한다면 여러 렌즈에서 두루두루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실 82mm보다 더 큰 크기가 있지만 흔하지 않은 렌즈들이라 표준적으로는 82mm가 가장 크다고 봅니다.) 

 

비네팅은 스텝업 링이다 보니 비네팅이 발생할 확률이 크지 않지만, 그래도 광각의 경우에는 비네팅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스텝다운 링(step down ring)

 

 

스텝다운 링은 사용하고 있는 렌즈보다 작은 필터를 보유하고 있을 때 사용합니다.

사실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거의 사용하지 않는 링입니다.

 

 

스텝다운 링을 사용할 시에 화각이 좁아짐으로 비네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2개 이상 연속으로 결합 시 비네팅이 대부분 생기는 편이죠. 

그렇다 보니 활용도는 떨어집니다만 바디의 특성에 따라 비네팅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바로 크롭 바디의 경우 풀프레임 렌즈를 사용하거나, 풀프레임 바디의 경우 크롭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죠.

 

크롭 바디에 풀프레임용 50mm 렌즈를 마운트 하면 1.5배가 되어 75mm가 됩니다.

그리고 풀프레임 바디에서도 경우에 따라 포맷을 정할 수 있는데 니콘 카메라를 예를 들면 풀프레임 바디에서 DX포맷으로 설정을 변경하여 촬영하면 역시 1.5배가 되어 촬영이 됩니다.

 

그래서 화각이 좁아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주변부 비네팅의 영향을 덜 받게 되는 것이죠.

 

 

마치며

 

 

사실 스텝업 링과 스텝다운 링의 공통적인 단점이 하나 있습니다.

 

스텝업, 스텝다운 링을 사용 시 렌즈 후드를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주력으로 많이 사용하는 필터는 금액적인 비용이 생기더라도 구경별로 모두 보유하여 사용하는 사진가분들도 있습니다. 특히 UV 필터는 보호 필터이기 때문에 렌즈 1개를 구매하면 무조건 구경 크기에 맞는 필터를 하나 구매하죠. 

 

특수 필터의 경우에는 스텝업 링을 사용해서 해결하시는 분들이 많고요. 대부분 추천하는 방법은 제일 큰 82mm 필터를 구매해서 스텝업 링을 이용하여 렌즈별로 사용하는 것이랍니다. 

 

그리고 스텝업 링과 스텝다운 링은 브랜드에 따른 품질이 다른 느낌이 거의 없다 보니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싸게 구매하여 쓰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사진 생활을 하신다면 다른 것은 몰라도 스텝업 링 정도는 마련해두시는 게 즐거운 사진 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